제로음료, 진짜 건강할까? 인기 14종 성분·당류·카페인 전격 비교
제로음료는 설탕 대신 감미료를 사용해 단맛을 유지하면서도 열량과 당류를 낮춘 음료로, 건강이나 체중 관리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국내 제로음료 시장은 2018년 1,630억 원에서 2023년 1조 2,780억 원으로 무려 7.8배 성장하며,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세가 예상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택을 돕기 위해 제로음료 14종에 대해 감미료, 당류, 카페인, 열량, 안전성, 표시 적합성, 가격 등의 품질과 표시 실태를 종합적으로 시험·평가했다. 본 글은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제로음료를 보다 똑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
🍭 감미료 함량은 안전 기준 이내
시험대상 제품 모두 아세설팜칼륨(설탕의 200배 단맛), 수크랄로스(600배 단맛)를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었고, 일부 제품에는 아스파탐, 알룰로스, 에리스리톨 등의 다양한 감미료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었다.
제품명 아세설팜칼륨 (1캔) ADI 대비(성인) 수크랄로스 (1캔) ADI 대비(성인)
미에로화이바 제로 | 70mg | 13% | 49mg | 5% |
스프라이트 제로 | 57mg | 11% | 96mg | 11% |
노브랜드 콜라 제로 | 57mg | 11% | 71mg | 8% |
펩시 제로 라임 | 46mg | 9% | 60mg | 7% |
밀키스 제로 | 18mg | 3% | 40mg | 4% |
🧠 아세설팜칼륨의 성인 기준 일일섭취허용량(ADI)은 540mg, 수크랄로스는 900mg이므로 모든 제품은 충분히 안전한 수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감미료를 다이어트나 질병 예방 수단으로 장기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히며, 가능하면 물로 대체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 당류 함량, 제로슈가 기준 충족
14개 제품 중 13개 제품은 당류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밀키스 제로 제품만이 100ml당 0.4g의 당류를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는 식약처 기준인 **'제로슈가' 표시기준(0.5g 미만)**에 적합한 수준이다.
제품명 당류 (100ml당) 총당류 (1캔)
밀키스 제로 | 0.4g | 1.0g |
나머지 13개 | 불검출 | 불검출 |
📌 일반 가당 탄산음료가 1캔당 평균 35g의 당류를 함유하는 것과 비교하면, 제로음료는 당류 함량이 3% 이하에 불과하다.
🔥 열량, 일반음료 대비 현저히 낮아
제로음료의 열량은 대부분 100ml당 3kcal 이하로, 일반 가당 탄산음료(41kcal/100ml)와 비교할 때 1~22% 수준이었다. 특히 미에로화이바 제로는 식이섬유 함량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100ml당 9kcal를 나타냈다.
제품명 열량 (100ml당) 총열량 (1캔)
미에로화이바 제로 | 9kcal | 32kcal |
기타 제품 | 0~3kcal | 2~8kcal |
⚠️ 열량만 낮다고 과도하게 섭취하면 다른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섭취가 중요하다.
☕ 카페인 민감자는 콜라형 제품 주의
콜라형 제로음료 4종은 카페인 함유가 확인되었으며, 100ml당 313mg, 제품 1개당 1146mg 수준이었다.
제품명 카페인 (100ml당) 총함량 (1캔)
펩시 제로 라임 | 13mg | 46mg |
닥터페퍼 제로 | 11mg | 39mg |
코카콜라 제로 | 10mg | 36mg |
노브랜드 제로 콜라 | 3mg | 11mg |
🚸 어린이(체중 30kg)는 하루 2캔 이상 섭취할 경우 카페인 일일 권고량(75mg)을 초과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안전성과 표시사항, 모두 기준 충족
- 식용색소: 사용된 3개 제품 모두 식약처 기준에 적합
- 보존료(안식향산, 소브산) 및 중금속(납, 카드뮴): 전 제품 기준 적합
- 미생물(세균수, 대장균군): 모든 제품 적합
- 감미료 주의사항 표시: 아스파탐과 에리스리톨 사용 제품은 각각 '페닐알라닌 함유 주의', '과량 섭취 시 설사 유발' 등의 문구가 명확히 표시되어 있었다.
💰 가격, 제품 간 최대 4.5배 차이
제품명 100ml당 가격 1개 가격
노브랜드 콜라 제로 | 140원 | 480원 |
코카콜라 제로 | 560원 | 2,000원 |
미에로화이바 제로 | 630원 | 2,200원 |
📊 동일 유형이라도 브랜드와 유통경로에 따라 가격 차이가 최대 4배 이상 발생하며, 일반 콜라와 제로콜라의 가격은 편의점 기준 거의 동일하다.
🛒 제로음료 구매·섭취 체크리스트
✅ 구매 전 확인사항
- 감미료 종류와 양 확인하기
- '페닐알라닌 함유' 또는 '설사 유발 가능성' 등 주의 문구 체크
- 유통기한, 내용량, 포장 상태 확인
✅ 섭취 시 주의사항
- 감미료 섭취는 일시적 대체 수단으로 활용
- 장기 다이어트 목적으로 과신하지 말 것
- 어린이, 임산부, 카페인 민감자는 카페인 음료 피할 것
♻️ 분리배출 요령
- 병/캔류는 깨끗이 씻고 라벨 분리 후 배출
- 스티커, 뚜껑, 부자재는 따로 분리
🎯 결론: ‘제로’는 무조건 좋은 선택이 아니다
제로음료는 당류와 열량을 크게 줄인 제품으로 건강한 음료 선택지 중 하나다. 그러나 감미료와 카페인 등 함유 성분을 정확히 이해하고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제품 선택 전에는 표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하고, 성분을 이해하는 소비습관이 필요하다.
📌 보다 상세한 제품 정보는 소비자24 비교공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만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수영복 품질 비교 분석 │ 소비자 구매 가이드 (0) | 2025.04.03 |
---|---|
제습기 품질 비교 분석 │ 소비자를 위한 똑똑한 구매 가이드 (2) | 2025.04.02 |
스포츠 브라 품질 비교|7개 브랜드의 기능성과 착용감 상세 분석 (1) | 2025.04.02 |
분유제조기 품질 비교|6개 브랜드의 성능과 안전성 집중 분석 (0) | 2025.04.02 |
아웃도어 워킹화 품질 비교|8개 브랜드 기능성·내구성 전격 분석 (2) | 2025.04.02 |
댓글